아 뭐 실력이 미천한제가 여기 글을 남길자격이 있나모르겠지만,
강좌라 생각하진 마시고, 여태 맥부기에서 너무 도움을 많이 받았는데
혹 도움이 될까 싶어서 몇일 헤맨 제 경험담을 남길께요.
저만 헤맨건지 모르지만 ㅋㅋ
일단 기존어플에 트위터 포스팅하는 기능을 넣었는데,
그냥 멘션 하나 날리는거였습니다.
(post방식으로 몇줄 넣었떠니 잘날라가데요^^)
9월 2일인가 뭔 트위터 인증방식이 바뀌었네 하는 소릴 귀뚱으로 듣다가,
혹시 하고 해보니 않된다는. ㅠㅠ
뭘해야 하나 열심히 뒤져본 결과, oAuth 방식으로 인증을 받고,
토큰을 받아다가(버스?) 뭘 여차저차 하면된다..
무슨 암호를 해독하는것도 아니고 ㅠㅠ
일단 OAuth 이놈이 뭔지 알아야것더군요.
http://dev.springnote.com/pages/1083036 요기가면 잘(?) 설명되어있습니다.
http://aproxacs.springnote.com/pages/1279246.xhtml 여기도요.
http://dev.twitter.com/pages/sign_in_with_twitter 요기가면 트위터사에서 왠 암호같은 글로
설명되어있구요.
자아알 설명되어있다는데, 통 뭔말인지 모르겠다 싶더군요. ㅠㅠ
대충 정리해보니 웹사이트나 클라이언트에서 트위터 사용자 아이디/패스워드를
넣고 트위터API를 쓰게되면 혹 그 웹사이트나, 클라이언트에서 아이디 유출이 발생할수있다.
고로 뭐 oAuth방식을써서 트위터를 사용하려면 트위터사이트의 인증페이지가 뜨고
그 사이트(트위터사)에 아이디 패스워드를 넣으면 이상한숫자(토큰?)를 받고
그걸 사용자가 거 웹사이트나 어플에 넣으면 아이디/패스워드 유출을 막을수있다.
뭔... 이런소리같은데.. 암튼 이걸 나도 모르겠고 사용자는 어찌알란말인가.
어플에 난데없이 트위터 홈이뜨고 거기에 자기 아이디/패스를 넣으면 숫자를 잘 외워서
그걸 어플에 어디넣어라..(난 못한다 ㅠㅠ)
결국 이게 아닌갑네 하고 헤매다 보니
xAuth방식이란게 있더군요.
일종에 트위터에서 뒷문을 슬쩍열어줬다?
아무튼 이방식으로 하면 기존처럼 사용자는 아이디/패스를 넣고 내부적으로
인증처리하고 사용할수있다는 뜻이더군요.
우선 뭘 해야하는가.
먼저 트위터사에 어플리케이션을 인정받으셔야 합니다.
http://dev.twitter.com/apps/new
요기서 등록하면 oAuth 방식만 바로 허용이 됩니다.
그러나 제가 쓰고싶은건 xAuth 방식의 뒷문.
그 방식으로 사용하고 싶으면 위에서 등록하고 트위터사에 메일을 보내야합니다.
http://dev.twitter.com/pages/xauth 요길보면 xAuth방식 쓰려면 메일보내라 이소리..
메일보냈습니다 ㅠㅠ 물론 영어 않됩니다 ㅠㅠ
대충 내용은 '아이폰 앱에서 너네껄 쓰고있었는데 않된다. 사용하게 열어달라'
application name 는 뭐고, consumer key 키는 뭐고, 내 이름은 뭐고, 트윗아이디까지.
혹시 몰라 기존 어플주소까지 달려서 보냈습니다.
일단 이리해놓으면 뭔 티켓인가가 메일로 날라오고 접수가 된듯.
그리고 심사를 약3일정도 하는듯합니다.
여기까지 해놓고 심사를 기다리는동안. 소스를 어떻게 고쳐야 하나 다시 찾아봤습니다.
결국 답은
http://github.com/aral/XAuthTwitterEngine
소스 받아다가 적당히 붙이기^^
트위터사 아이폰 예제프로그램에도 저 사이트가 있는거보면 써도 되는듯^^
http://dev.twitter.com/pages/oauth_libraries#objectivec
MGTwitter을 이용한 XAuth 사용방법이던데,
oAuth, xAuth를 사용할수있는 oAuthConsumer 라이브러리가 포함되어있습니다.
뭐 그 라이브러리를 제가 해석할 능력은 없고, 적당히(?) 갖다붙이고(데모를보면서)
3일만에 승인이난 Consumer key, Consumer secret를 넣고 테스트 하니 잘갑니다.^^
한글 사이트가 참 아쉬웠는데
아랫분 블로그에서 많은도움을 받았습니다(감사합니다^^)
http://dreamofblue.tistory.com/73
http://dreamofblue.tistory.com/76
이상 요 몇일 헤맨 제 경험담이었습니다. ^^
꾸벅
답변 :
http://github.com/bengottlieb/Twitter-OAuth-iPhone
전 우선 OAuth 방식을 그대로 쓰는데요..
위 사이트 가셔서 파일 다운 받으시고.. Twitter+OAuth 이놈을 자기 폴더로 복사하신 후에..
안에 있는 View Controller 만 잘 수정하면 되요..
위에서 말씀하신 숫자는 UserDefault에 저장 되고..
다른 사람이 로그인 할 때는.. UserDefault 내부 번호만 잘 바꿔주면..
OAuth 생각보다.. 편리하네요.. 아이디/패스워드 저장 안해도 되고..
로긴 페이지 따로 안만들어줘도 되고..^^
--댓글
============= 댓글 내용 ===========================
http://github.com/bengottlieb/Twitter-OAuth-iPhone
전 우선 OAuth 방식을 그대로 쓰는데요..
위 사이트 가셔서 파일 다운 받으시고.. Twitter+OAuth 이놈을 자기 폴더로 복사하신 후에..
안에 있는 View Controller 만 잘 수정하면 되요..
위에서 말씀하신 숫자는 UserDefault에 저장 되고..
다른 사람이 로그인 할 때는.. UserDefault 내부 번호만 잘 바꿔주면..
OAuth 생각보다.. 편리하네요.. 아이디/패스워드 저장 안해도 되고..
로긴 페이지 따로 안만들어줘도 되고..^^
'개발 > App Develo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놈에 대한 참고 하나더 (0) | 2010.11.12 |
---|---|
앱에서 카메라 사용시 프레임웤 관련 (0) | 2010.11.12 |
sqlite 공부시 도움 블로그 (0) | 2010.10.04 |
테이블 스페이스 용량 보기 (0) | 2010.09.13 |
Core Data 란? (0) | 201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