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영어에 대한 장벽이 새삼 크게 느껴져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앱으로 영어공부를 좀 할려고
검색도중
팟캐스트(Pod cast) 란 것에 대해 알게되었다.
세상에나~~!!
이 좋은 걸 모르고 여태껏 아이폰/아이패드를 사용해 왔다.
우선 네이버 지식검색에서 팟캐스트를 찾아 보았다.
'팟캐스트는 애플의 아이팟(Ipod)과 방송(Boradcasting)을 결합해 만든 신조어로,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PMP) 사용자들에게 오디오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 형태로
뉴스나 드라마, 각종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존 라디오 프로와 달리 방송시간에 맞춰 들을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는 관심 프로그램을 내려받아 아무 때나 들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맞춤형 개인 미디어입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인
옴마나 세상에..
기기를 가지면 사용할 줄을 알아야지 ..
이건 뭐 잠시 멍해졌다.
여지껏 이런 것도 모르고 살았나하고..
궁금하여 조금 더 검색 ...
'초고속인터넷 + 퍼스널 미디어 디바이스 + 콘텐츠 = 팟캐스트 '
묘한 공식이 나온다..
이건 뭐.. 내가 좋아하는 단어들의 조합이 팟캐스트??
조금 더 들어가보자
디지털 콘텐츠 생성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콘텐츠는 특정 개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소비하기 위한것이다.
그러므로 만드는 것 이상으로 배포가 중요하게 된다.
기존의 콘텐츠들은 특정 집단과 특정인에 의해 그리고 특정매체 (채널)에 의해
만들고 배포되어 왔다. TV, 라디오, 영화, 음악, 서적 등 만드는 주체와
배포하는 채널이 거의 결정되어 있었다.
방송국, 영화관, 음반가게, 서점 등 콘텐츠를 구입하고 즐기기 위해선 이미
정해진 채널을 만나야 했다. '온라인' 이라고 부르는 인터넷을 빗대어
그런 채널을 '오프라인'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초고속 인터넷'이라는 훌륭한 온라인 배포 채널이 생겼다.
사람들은 더 쉽게 여러 사람들과 교감할 수 있게 되었고,
적극적인 콘텐츠 소비에 나서게 되었다. 콘텐츠는 소비가 활발해지면
생산도 덩달아 활발해지는 기존 제조시스템과 아주 많이 닮아 있다.
인기있는 콘텐츠는 또 다른 인기 있는 콘텐츠를 위해 확대 생상된다.
인터넷을 통한 올라인 콘텐츠 배급은 거의 실시간적인 반응과 결과를 알아낼 수 있다.
흥행과 실패의 경계가 뚜렷하고 흥행에 대한 코드는 직접적인 생산자 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에게 영감을 주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어느 콘텐츠가 다른 콘텐츠 제작의 모티브도 제공하게 된다.
그런면에서 블로그와 블로그의 트랙백은 아주 좋은 예라고 할 수 있겠다.
사실 콘텐츠와 초고속 인터넷만 있어도 콘텐츠의 생산과 배포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근 10년간 한국사회에 만들어진 '초고속 인터넷 + 콘텐츠' 의 조합이 현재
우리 온라인 문화라고 보면 되겠다.
이젠 집안이나 사무실에서만 이런 소비를 요구하는 것 뿐만 아니라 밖으로
나가고 싶어한다.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기를 원하고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소비하고자 하는 욕구가 생기게 되었다.
바로 이런 욕구의 실현이 바로 MP3P, PMP, PDA, UMPC 같은 이동형 플레이어의
등장이다. 이 중에서 UMPC 를 제외한 핸드핼드 장비들인 MP3P, PMP, PDA는
PC 같은 강력한 프로세서를 탑재하지 않고도 특정한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기기들이다.
이런 이동형 기기들이 '초고속 인터넷 + 콘텐츠' 를 밖으로 나가서 즐길 수 있도록
자유를 주었다. 물론 여기엔 네트워크 영역이 아닌 오프네트워크 영역이 바로
팟캐스트의 영역이라고 보면 되겠다. 네트워크로 가는 것이 바로
Wibro, HSDPA, Wireless Internet 등이 되겠다.
기존 유선 인터넷이 폭발적인 성장을 이룬 이면에 합리적인 가격이 뒷받침 되었다는
사실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Wibro 나 HSDPA 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도
비용이 가장 큰 장벽임은 예측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바로 그런 비용(콘텐츠 비용이 아닌 접속과 인프라 사용비용)이 한동안 콘텐츠
이용을 억제하게 될 것이다. 월 3만원짜리 유선 초고속 인터넷과 또 다시
월 3만원 내외의 무선 인터넷 비용을 기꺼이 지불할 사용자가 얼마나 많을까?
그것뿐인가? 핸드폰 사용료는? 그럴때 대안이 바로 팟캐스팅(팟캐스트 이용)이 될 수 있다.
그럼 팟캐스트로 할 수 있는 게 뭐가 있는 지 한번 살펴보자.
(여기에 설명하는 것은 콘텐츠의 합법성과 오디오와 비디오를 구분하지 않겠다.
중요한 것은 적절하게 콘텐츠를 소비하는 일이니까..)]
1. 뉴스를 다시 듣고 볼 수 있다.
- 물론 뉴스가 즉시성이 생명인 콘텐츠이지만 밤새 일어난 뉴스를 5-10분만에 듣고
이해하기엔 무리가 있다. 신문도 짧은 시간동안 제약된 공간에선 제대로 읽기 어렵지
않은가? 이때, RSS로 구독해 놓은 채널을 통해 뉴스를 텍스트나, 음성으로 바꾼
MP3 또는 TV 뉴스를 Sync 시켜 집을 나서면서 사용할 수 있다.
2. 각종 방송 콘텐츠를 즐긴다.
- KBS 라디오의 팟캐스트 처럼 라디오, TV 방송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체를 방송 시간이
아닌 상태에서 언제든 즐길 수 있다. 요즘 흔히 말하는 방송의 '타임머신' 기능이다.
팟캐스트도로 '엑스캔버스' 할 수 있는 것이다.
3. 교육 콘텐츠의 배포
- 이미 미국의 교육분야에서는 활발하게 논의되고 진행되고 있다. 소외된 계층을 위한
팟캐스트 교육을 진행하거나 교육 콘텐츠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각광받고 있다.
선생님의 수업을 듣고 나서 다시 선생님이 자신의 교육 콘텐츠를 블로그에 올려두면
학생들은 집에서 팟캐스팅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MP3P나 PMP에 담아서 다시 듣거나
볼 수 있는 것이다. 고등학교 수험생이라면 학원의 강의 내용도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이다.
4. 인디 뮤지션, 언더그라운드, 새내기 아티스트들의 예비고객 만나기
- 인기라는 것이 곧 성공의 지표가 되어버린 연예계. 하지만 음악이 좋아서, 연기가 좋아서,
춤이 좋아서 열정을 바치는 젊은이들이 많다. 스스로가 만든 콘텐츠를 팟캐스팅하면
자신의 실력과 열정을 아릴 수 있다. 인디밴드, 언더그라운드 가수, 성악가, 미술가 등등
자신만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제작의도 등을 만들어 배포해 보라.
결국 콘텐츠는 나누어야 가치가 있는 법이다.
5. 정치인, 당신의 능력을 홍보하라.
- 선거철만 되면 신문사, 방송사, 경로당, 반상회 기웃거리지 말고, 몇 마디 글로써 이슈를
제기하지 말고, 팟캐스팅하면 된다. 자신의 블로그에 자신이 추진하고 있는 일, 자신이 바라는 일,
주민과의 대화 등등 365일 언제나 가능한 팟캐스팅하라. 그리고 자신의 유권자를 관리하면 된다.
정치인에게 가장 모자라는 것이 대화이다. 글뿐만 아니라 음성과 영상으로 대화하는 채널이
바로 팟 캐스트 이다.
6. 제품을 팟캐스트 하기
- 홈페이지 방문, 홍보 메일 보내기, TV 신문광고, 매장광고... 소비자는 간접 경험에 의한 제품평에
민감한 시대에 살고 있다. 우수한 제품은 판매가 되고 떨어지는 제품도 도태되는 시대이다.
무엇이 그렇게 만들었을까? 바로 인터넷이다. 바로 미디어 채널이 그렇게 만들어 놓았다.
그렇다면 당당하게 미디어로 판로를 개척하자. 제품의 설명 장점, 제품 메뉴얼을 팟캐스트로 만들어
배포하라. 우수 사용자의 수기를 글이 아닌 음성과 영상으로 팟캐스트 하여 배포하라.
고객은 그것이 스팸이 아닌 정보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이해한다.
그리고 RSS는 푸쉬(PUSH)가 아니다. 자발적인 가입(Subscription) 이다.
7. 가족과 동료간의 커뮤니티에 활용하자.
- 멀리 떨어져 있는 손주의 모습을 사진 몇장으로 받아볼 수 있겠지만, 동영상을 즐기기엔 제공하는
아들네 입장에선 비용이 많이 든다. 그렇게 서비스할 방법도 막연하다. 그때 팟캐스트를 이용하자.
RSS는 기본적으로 개방적인 구조이지만 인증이 필요한 RSS 가 등장할 것이다.
특정 커뮤니티를 위한 팟캐스트가 제공될 것이다.
동호회 소식과 동호회의 기술적인 자료를 회원간에 공유할 때 팟캐스팅 하는 것이다.
8. 회사 사내 교육에 사용하자.
- 바쁜 사람들 한자리에 모아놓고 단체 교육할 필요보다는 팟캐스팅이 훨씬 효과적이다.
멀리 떨어져 있는 지사라면 더더욱 힘들 것이다.
9. 각종 콘텐츠 제작자들의 천국
- 재밌는 카툰을 만드는 사람, 유용한 사용법을 알려주는 팟캐스트, 자신의 일상을 팟캐스팅
하는 사람 등등 독특한 자신만의 콘텐츠를 가진 사람들이 많다. 중간 중간에 광고를 통한
무료배포는 수익사업이 될 수도 있다. 인라인 전문가가 인라인 강의 팟캐스팅을 한다면
중간 중간 인라인 광고를 할 수 있다. 다른 채널에 비해 광고의 타겟과 결과가 명확할 것이다.
10. 플레어를 사은품으로 제공하자.
- 플레이어나 스토리지를 무상으로 고객에게 배포하고 그 안에 팟캐스트 프로그램과 초기
콘텐츠를 넣어서 배포하자. 사용자가 콘텐츠를 광고로서뿐만 아니라 플레이어, 스토리지로서
사용을 하게 될 것이므로 사은품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다. 인터넷에 접속하면 바로바로
RSS 로 업데이트 되는 제공사의 소식과 콘텐츠들.. 많은 아이디어가 나온다.
이상 http://blog.daum.net/sk3141/6212025 블로그에서 퍼왔습니다.
여기서 3, 4, 6, 7, 9 번은 아주 맘에 드는 내용이 많다.
조금 더 알아볼까나..
이경상박사의 "Enterprise 2.0" 블로그에서 퍼와보자
(http://kslee7.tistory.com/23)
이하 펌글
팟캐스트란?
- 팟캐스팅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wikipedia에 정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음.
- 팟캐스팅은 인터넷을 통하여 시청하려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팟캐스트들을
선택하여 정기적 혹은 새로운 내용이 올라올 때 마다 자동으로 구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송을 전달하는 방법을 의미.
- 팟캐스트는 아이팟의 pod과 방송(broadcast)의 cast가 합쳐진 단어임.
팟캐스팅과 같은 방식의 배포
- 구독 모델(RSS)은 팟캐스트라는 말이 생기기 이전인 2001년에 만들어 졌으나,
팟캐스트라는 용어는 2004년에 처음 사용됨.
- 많은 사람들이 팟캐스트를 아이튠즈에서만 구독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실제로는 팟캐스트를 구독하고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수 존재함.
또한 팟캐스트라는 용어는 이를 들으려면 아이팟과 같은 MP3P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처럼 오해하게 할 소지가 있으나 사실은 그렇지 않음.
- 팟캐스팅이 다른 온라인 미디어와 다른 점은 사용자가 매번 미디어를 선택하거나
찾아 들어가는 방식이 아닌 구독 방식으로 이루어진 점임.
- 팟캐스팅의 구독 모델은 RSS 2.0 XML ( 또는 RDF XML) 파일 포멧을 사용하여
파일을 제공함. (RSS 파일 내에서 enclosed 태그를 사용)
팟캐스팅을 통해서 독립 제작자들은 자신만의 라디오 프로그램을 만들고 제공
할 수 있음. 청취자들은 아이튠즈와 같은 팟캐스트 구독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새로운 프로그램이 나왔는지 확인하고 다운로드 받아 청취할 수 있게 됨.
일부 팟캐스트 구독 소프트웨어는 미디어 파일을 자동으로 MP3P에 전송해 주기도 하며
최근에는 동영상 파일을 전달하는 팟캐스트가 다수 출시됨.
팟캐스트의 활용분야
- 신문, 뉴스, 방송분야에서의 활용
RSS로 구독해 놓은 채널을 통해 뉴스를 텍스트나, 음성으로 바꾼 MP3로 휴대용 기기에
다운로드 하여 제약된 공간에서 들을 수 있음.
- 교육분야에서의 활용
교사가 자신의 교육 콘텐츠나 음성강의록을 블로그에 올려두면 학생들은 컴퓨터나 휴대용
기기를 통해 집이나 다른 곳에서 팟캐스트를 통해 학습할 수 있음.
- 기업의 팟캐스트의 활용
기업 제품의 설명 장점, 제품 메뉴얼, 우수 사용자의 수기 등을 팟캐스트를 통해 배포할 수 있음.
팟 캐스트를 통해 기업의 경영실적, 투자 정보 및 생활 정보 등도 제공 할 수도 있음.
- 예술, 종교분야에서의 활용
바쁜 일로 교회나 절에 가서 지도자 말씀을 듣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이트에서 팟캐스트를 통해
종교 지도자들의 설교를 제공받아 들을 수 있음.
팟캐스트의 발전 방향
- 점차적으로 팟캐스트를 활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나고 활용되는 분야도 광범위 해지고
있기 때문에 팟캐스트는 수익성 측면에서 높은 잠재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실제 수익모델과 결합한 팟캐스트가 더 많이 등장할 것으로 전망됨.
점차적으로 기존에 인터넷이나 휴대 전화 단말기로 가능했던 많은 콘텐츠 서비스들이
팟캐스트 서비스 형태로도 제공될 것임.
- 애플의 아이팟 시리즈 및 아이튠즈 서비스, 그밖의 MP3P 등 디지털 미디어 기기의 성장세는
오디오 팟캐스트의 확산 및 발전에 큰 역활을 했듯이 비디오 아이팟, PMP, 뮤직폰 등
모바일 재생기기의 확산은 비디오, 이미지 팟캐스트를 더욱 활성화 시킬 것으로 예상됨.
-- 여기까지 펌입니다.
음 대략 같은 내용이 나오네요..
암튼 이것 좀 더 알아봐야겠습니다.
'애플 > iPh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S 모든 버전의 펌웨어 다운 (0) | 2011.05.05 |
---|---|
[Twitter] XAuth+Keychain을 이용한 간단한 트위터 연동 (0) | 2010.12.23 |
아이폰4 배경화면 (0) | 2010.10.27 |
트위터 멘션관계도 확인 사이트 (0) | 2010.10.07 |
구글, '말로 쓰는 문자·채팅·이메일' 발표 (0) | 2010.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