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갑자기 심장마비가 왔을 때 대처요령! 더보기 [스마트폰 시대, 이런 '브랜드앱' 어때요] ③ 차/언론/산업/생활/완구 출처 : http://www.bloter.net/archives/41625 브랜드 앱’을 아십니까? 브랜드 앱이란, 기업의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는 모바일 앱을 통칭하는 말이다. 모바일 앱 자체가 상품인 게임이나 유틸리티 앱을 제외하면, 상당수의 모바일 앱이 브랜드 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대부분 무료로 제공되면서도 소비자들에게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애플리케이션 마켓을 더욱 풍성하게 해주는 일등 공신이기도 하다. 스마트폰 시장이 일찍 열린 미국 같은 나라에서는 대부분의 유명 브랜드가 한두 개 이상의 브랜드 앱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보편화됐다. 영미권에서는 보통 ‘브랜디드 모바일 앱스(Branded Moblie Apps)’라고 부른다. 국내에서는 올 초부터 간단히 브랜드 앱이.. 더보기 '반값의 유혹' 소셜커머스 종착역은? 출처 :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portal=001_00001&id=201011010101 `반값 쿠폰`으로 잘 알려진 소셜 커머스가 레스토랑 · 공연 · 미용에 이어 패션 · 보석 · 레저 분야 등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소셜 커머스는 외식 메뉴 · 레저 · 호텔 숙박 등 다양한 티켓을 일정시간 안에 일정 고객 이상이 구매를 하면 절반 이상으로 깎아 주는 마케팅 방식이다. 트위터 ·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와 연계해 공동구매 형식으로 진행해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1일 의류 반값 소셜 커머스 `스타일 티켓`이 문을 열었다. 스타일티켓 측은 “소셜커머스가 특정 분야에 한정돼 왔다” 며 “의류 전문 소셜 커머스로 전문화를 시도했다”고 말했다.. 더보기 페이스북도 소셜커머스 시장에 진출하나 출처 : http://www.bloter.net/archives/41599 요즘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의 소셜웹 서비스를 제외하고, 국내외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서비스를 꼽는다면 바로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라 할 수 있습니다. 소셜커머스라는 용어가 정확한 표현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는 것도 사실이고, ‘그룹 구매’(Group Buying)라는 표현을 많이 쓰기도 하는데, 해외의 그루폰이 대세를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티켓몬스터 등 100여개의 사이트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티켓몬스터 등 중소 전문업체가 먼저 진출한 소셜커머스 시장에 대기업들도 뛰어들 태세인데, 해외도 예외는 아닌가 봅니다. 사실 그루폰이 개척한 시장에 트위터가 얼리버드(@ealrybi.. 더보기 MS가 추천하는 클라우드 도입 시나리오 6가지 출처: http://www.bloter.net/archives/41588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에서 기업들이 참고할 만한 시나리오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기업들은 기술적인 논의 이외에 어떤 서비스를 받을 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지 고민이 많다. 이런 고민을 하던 차에 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파워블로거들을 대상으로 이에 대한 소개 자리가 있었다. 기술적인 소개도 있었지만 실제 기업들이 도입해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례들이 소개됐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자리였다. 김재우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부장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이 내년에 쏟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재우 부장이 밝힌 클라우드 도입 솔루션 시나리오 6가지를 이곳에 소개한다. 김 부장은 클라우드.. 더보기 소프트뱅크 승리의 방정식 출처 : http://estima.wordpress.com/2010/10/28/softbankhamazaki/ 며칠전 발표된 소프트뱅크 실적발표 자료를 보다가 재미있는 슬라이드를 발견. “트위터에서 태어난 TV광고. 하마자키아유미 X 시라토지로” 즉, 일본의 유명가수 하마자키아유미가 “처음뵙겠습니다. 하마자키아유미라고 합니다. 손상! 견공아버지(소프트뱅크광고의 주인공 시라토지로)와 같이 출연해보고 싶습니다”라고 트윗을 하자 누가 “진짜로 이뤄지면 좋겠다”고 RT를 했고 그것을 손정의사장이 받아서 “やりましょう。”(해봅시다!)라고 해서 실제로 하마자키가 출연한 소프트뱅크광고가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미리 짜고(?) 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지만 재미있다. 그런데 또 놀란 것이 소프트뱅크홈페이지에 보니까 .. 더보기 KT ucloud 오랜만에 미쿡에 사는 형에게 연락이 왔다. 혹시 쿡이나 쇼를 이용하냐고 KT의 ucloud 서비스를 사용해 보고 싶다고.. 젠장 뭐지.. KT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하고 있었나? 오히려 한국에 살면서 이번에 마눌님이랑 아이폰 4로 갈아타면서 쇼를 이용하고 있는데 모르고 있었다는 데 화가 나 검색을 좀 해보았다. 그렇지 않아도 요즘 회사, 맥북프로, 노트북, 넷북, 아이폰, 아이패드를 오가며 마땅한 백업용 하드가 없어 NAS(Network Attached Storage)를 알아보고 있었는데 KT에서 쿡이나 쇼 이용자에게 한달에 무료로 20G씩을 제공한다는 것은 나에게 단비같은 소식이었다. 네이버 N 드라이브도 10G의 용량을 제공하긴하지만, (LGU+ 는 사용안해봐서 제외) 200M의 업로드 용량 제한이.. 더보기 아이폰4 배경화면 어디로 둘지 몰라 여기에 올린다. 나중에 더 업로드 할게 앱 중에 배경화면 앱 많거든 거기에 이쁜 앱들 진짜 많아 이것은 그 중에 마눌님이 싫어해서 지워버리라 해서 옮겨둔거 ㅎ 암튼 다운 받은 말 줘 ... 더보기 구글번역 관련 대한민국을 '日本'으로 번역하는 구글번역에 대해 갑자기 궁금해졌다. 과연 구글의 농간인가? 그래서 구글의 번역 알고리즘이 궁금해졌다.. 웹검색을 시작해보자.. 구글에 따르면 구글번역기는 인간 번역의 개입이 없는 기술에만 의존하는 방식이다. 구글번역기는 수많은 어휘와 문법을 정의하는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상업용 기계번역 소프트웨어와 달리, 컴퓨터에 57개의 언어에 해당하는 수십 억개의 단어 및 텍스트와 더불어 사람이 번역한 텍스트 사례를 합께 입력한다. 또 이외에도 웹에는 이미 사람들이 번역해놓은 수억개의 자료가 존재한다. 이런 자료들을 통해 구글은 컴퓨터가 양쪽의 언어를 인식하도록 만든 후, ‘통계적 학습기법’을 이용해 번역 모델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구글번역기에 특정 문구를 .. 더보기 한국/한글 특성에 맞는 Mac 필수 유틸리티 출처 : http://tykim.wordpress.com/2010/03/26/%ED%95%9C%EA%B5%AD%ED%95%9C%EA%B8%80-%ED%8A%B9%EC%84%B1%EC%97%90-%EB%A7%9E%EB%8A%94-mac-%ED%95%84%EC%88%98-%EC%9C%A0%ED%8B%B8%EB%A6%AC%ED%8B%B0/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Mac의 한글 혹은 한국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한국 환경에서 더욱 맥을 맥답게 쓰는 프로젝트 및 제품들이 아닌가 싶다. 최근 iMac을 새로 구매하면서 기존에 정리한 Snow Leopard(Mac) 필수 유틸리티 정리 글을 보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었다. 이중 한글/한국 특성에 관련된 부분이 몇개 빠져서 겸사겸사 그 부분을 보강..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39 다음